부동산공법

기반시설부담구역

다락방장 2022. 7. 1. 16:19

기반시설부담구역이란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서 개발로 인하여 도로, 공원, 녹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정·고시 하는 구역을 말합니다.

 

지정권자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

 

지정대상지역
  1.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의 제정·개정으로 인하여 행위 제한이 완화되거나 해제되는 지역
  2.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지정된 용도지역 등이 변경되거나 해제되어 행위 제한이 완화되는 지역
  3. 개발행위허가 현황 및 인구증가율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음의 지역
    ① 해당 지역의 전년도 개발행위허가 건수가 전전년도 개발행위허가 건수보다 20%이상 증가한 지역
    ② 해당 지역의 전녀도 인구증가율이 그 지역이 속하는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시 또는 군(광역시의 관할구역에 있는 군은 제외한다)의 전년도 인구증가율보다 20% 이상 높은 지역

다만, 개발행위가 집중되어 지정권자가 해당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가 인정하면 지정 대상지역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라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 할 수 있다.

 

 

지정절차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지정 또는 변경하려면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하며, 해당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반시설부담구역의 명칭·위치·면적 및 지정일자와 관계 도서의 열람방법을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공보와 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하여야 한다.

 

 

수립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기반시설부담구역이 지정되면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를 도시군관리계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의제 및 해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경우에는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보며,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고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면 그 1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은 해제된 것으로 본다.

 

 

설치가 필요한 기반시설
  1. 도로
  2. 공원
  3. 녹지
  4. 학교(대학X)
  5. 수도
  6. 하수도
  7.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시설
  8.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가 법 제68조 제2항 단서에 따른 기반시설부담계획에서 정하는 시설

 

 

부과대상

기반시설부담구역에서 기반시설설치비용의 부과대상인 건축행위는 단독주택 및 숙박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서 200㎡(기존 건축물의 연면적을 포함한다)를 초과하는 건축물의 신축·증축 행위로 한다. 

다만,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신축하는 경우에는 기존 건축물의 건축연면적을 초과하는 건축행위만 부과대상으로 한다.

 

기반시설설치비용의 산정기준

기반시설설치비용은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기반시설표준시설비용과 용지비용을 합산한 금액에 부과대상 건축연면적과 기반시설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총 비용 중 국가·지방자치단체의 부담분을 제외하고 민간 개발사업자가 부담하는 부담률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기반시설유발계수
  1. 위락시설 : 2.1
  2. 관광휴게시설: 1.9
  3. 제2종근린생활시설: 1.6
  4. 자원순환 관련시설: 1.4
  5. 종교시설: 1.4
  6. 문화 및 집회시설: 1.4
  7. 제1종근린생활시설: 1.3
  8. 판매시설: 1.3
  9. 숙박시설: 1.0
  10. 의료시설: 0.9

 

 

부과 및 납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납부의무자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은 날부터 2개월 이내에 기반시설설치비용을 부과하여야 하고, 납부의무자는 사용승인 신청시까지 이를 내야 한다. 기반시설설치비용은 현금,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로 납부하도록 하되, 물납을 인정할 수 있다.

 

 

특별회계의 설치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기반시설설치비용의 관리 및 운용을 위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별로 특별회계를 설치하여야 하며, 그에 필요한 사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부동산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개발법] 개발계획  (0) 2022.07.02
[도시개발법]  (0) 2022.07.01
개발밀도관리구역  (0) 2022.07.01
[국토계획법] 용어정리  (0) 2022.04.19
광역도시계획 절차  (0)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