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부터 지니고 잇는 물리적 특성으로서
선천적 · 본원적 · 불변적인 특성이며, 일반적으로는 부동성, 부증성, 영속성, 개별성, 인접성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부동성(비이동성,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부동산은 물리적인 의미에서 그 지리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이동되는 것이 아닌 특성
- 동산과 부동산을 구별하는 기초적 근거
- 부동산 시장의 국지화, 지역분석의 근거
- 임장활동 및 정보활동
- 외부효과 발생
- 제도적 규율의 대상
부증성(비생산성, 면적의 유한성, 수량의 고정성)
토지란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재화이지 생산되는 재화가 아니 특성.
- 물리적·경제적 공급
물리적 공급은 제한되어 있지만, 경제적 공급은 제한되어 있지 않다. - 단지적·장기적 공급
- 집약적 이용과 유용한 토지의 공급
최유효이용의 원칙의 근거
지대 또는 지가를 발생
독점소유욕
영속성(비소모성, 불괴성)
토지는 영원이 존속되는 것
- 감가상각의 적용 배제
- 경제적 가치는 파괴 가능
- 자산의 보전수단
- 장기적 배려
- 임대차시장의 발달
개별성(비대칭성, 비동질성, 이질성)
어떠한 부동산도 똑같은 것은 없다.
- 물리적 비대칭성
- 일몰일가의 법칙 배제
인접성(연결성)
인접토지와 긴밀한 공간관계에 있다.
- 각가의 부동산은 인지와이 협동적 이용을 필연화 시킨다.
- 소유와 관련하여 경계문제를 불러일으킨다.
- 토지의 이용에 있어 협동적 논리 주창의 근거가 된다.
-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논리의 근거가 된다.
- 가격구성에 잇어 인접지의 영향을 받게 되며 지역분석을 필연화시킨다.
- 부동산의 용도면에서 대체가능성을 존재하게 한다.
제31회기출
토지의 특성에 관려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개별성은 토지시장을 불완전경쟁시장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 부증성은 토지이용을 집약화시키는 요인이다. ㉢ 부동성은 부동산 활동에서 임장활동 필요성의 근거가 된다. ㉣ 영속성은 부동산 활동에서 감가상각 필요성의 근거가 된다. |
① ㉠
② ㉡, ㉣
③ ㉠, ㉡, ㉢
④ ㉡, ㉢, ㉣
⑤ ㉠, ㉡, ㉢, ㉣
더보기
정답: ③ ㉠, ㉡,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업(표준산업분류) (0) | 2022.01.16 |
---|---|
토지의 인문적 특성 (0) | 2022.01.04 |
주택의 분류 (0) | 2022.01.03 |
법지 vs 빈지 (0) | 2021.12.30 |
필지 VS 획지 (0) |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