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의 특성의 분류입니다.

첫번째로 부동성에 대해 알아 봅니다.
부동성(비이동성)
토지의 자연적 위치(장소)는 고정되어 있다.
파생현상
1. 시장의 지역화(국지화)
부동산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느 지역의 수요가 급증했다고 하더라도, 동산처럼 그곳으로 이동할 수가 없습니다. 부동산의 이러한 성격은 부동산 시장을 국지화 시키는 역활을 하며, 지역시장을 형성하도록 해줍니다.
2. 외부효과의 근거
부동산은 이동성이 없기 때문에 부동산의 가치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을 외부효과라 합니다.
3. 임장활동(현장활동)의 근거
부동산 활동은 현장조사가 필수적으로 요구 됩니다. 사람이 직접 부동산이 잇는 곳으로 가야 하는 임장활동입니다.
4. 지역분석의 근거
5. 토지의 부동성은 지방자치단체 운영을 위한 부동산 조세 수입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6. 토지의 이용방식이나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의 자연적 특성] 영속성(비소모성) (0) | 2022.01.19 |
---|---|
[토지의 자연적 특성] 부증성(비생산성) (0) | 2022.01.19 |
토지 용어 (0) | 2022.01.17 |
부동산 활동에 따른 토지의 분류 (0) | 2022.01.17 |
부동산 개념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