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활동에 따른 토지의 분류를 봅니다.
임지지역의 용재림지역과 신탐림지역이 나오네요.
용재림(用材林)
건축재, 기둥재 등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산림입니다.
신탄림(薪炭林)
땔나무와 숯을 생산하기 위하여 가꾸는 산림으로 상수리 나무나 떡갈나무의 산림이 가장 가치가 크다네요.
땔감숲, 연료림으로 수화함.
용어가 생소해서 알아 봤습니다.
시험엔 안나오겠죠....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의 자연적 특성] 인접성(연결성) (0) | 2022.01.21 |
---|---|
[토지의 자연적 특성] 개별성(비대체성) (0) | 2022.01.21 |
[토지의 자연적 특성] 영속성(비소모성) (0) | 2022.01.19 |
[토지의 자연적 특성] 부증성(비생산성) (0) | 2022.01.19 |
[토지의 자연적 특성] 부동성 (비이동성) (0) | 2022.01.19 |